[수종사, 水鐘寺]
수종사는 경기도 남양주 운길산 중턱에 있는 사찰입니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양수리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이는 사찰로
특히 수종사 삼정헌에서 바라보는 일출과 월출은
가히 경관의 백미라 할 정도로 그 수려함을 보여줍니다.
수종사는 세조와 관련된 창건설화가 전해오고 있습니다.
세조가 1458년(세조4)에 지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강원도 오대산에 갔다가
남한강을 따라 환궁하는 도증 용진강 이수두(지금의 양수리)에서 밤을 맞아
야경을 즐기는데, 운길산쪽에서 문득 종소리가 들려 그 연유를 알아보게 하니
폐허된 천년 고찰이 있고 암굴에 18나한이 열좌하였으며,
바위틈에서 물이 떨어지는 소리가 종소리를 낸다고 아뢰니
세조는 이듬해(1459) 그 곳에 절을 다시 짓고 수종사라 이름하였다고 전합니다.
다산 정약용의 <수종사기>에는 "수종사는 신라 때 지은 고사인데
절에는 샘이 있어 돌 틈으로 물이 흘러나와 땅에 떨어지면서 종소리를 내는데
그래서 수종사라 한다."고 전합니다.
가파른 비포장 길을 한참 오르다 보면 일주문이 나타납니다.
두개의 부도가 보입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미륵부처님이 우리를 반겨줍니다.
수종사 올라가는 돌계단에 오색 연등이 줄지어 있어요.
맑은 약수가 더위에 지친 목을 축여줍니다.
다산은 고향집에서 가장 가까운 수종사를 자주 찾았는데
운길산에 올라 시를 짓고 수종사에서 잠을 자면서 절간의 고요한 정경에
마음을 기울이면서 한가한 시간을 보냈다고 합니다.
봄날 수종사에서 노닐다
고운 햇살 옷깃에 비추어 밝은데
옅은 그림자 먼 밭에 떠 있다.
배에서 내리니 자유로워 기분 좋고
골짜기에 들어서니 그윽하여 즐겁구나.
바위 풀 교묘하게 단장하였고
산 버섯 둥글게 불끈 솟아나왔네.
아스라한 강변에 어촌이 보이고
위태로운 산머리엔 절간이 붙어 있다.
생각이 맑아지니 사물이 경쾌하게 여겨지고
몸이 높아지니 신선이 멀지 않구나.
안타까움은 뜻 맞은 길손이 없어
현묘한 도 찾는 토론 못함이로다.
- 다 산 정약용 -
파란 하늘을 향해 줄지어 매달려 있는 오색 행렬...
부처님 오신 날을 봉축하는 연등이 맑은 햇살에 나부낍니다.
숨가쁘게 달려온 지난 일일랑
이제 귀 접어두고
차나 한 잔 마시고 가시게나.
삼정헌은 맑은 약수로 우려낸 차와 시원스런 전망이 함께 어우러져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마음을 맑게 해줍니다.
수종사 경내 찻집 삼정헌은 수종사를 찾는 모든 분들에게 개방하고
차와 다구 등 일체를 갖춰놓고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차향이 가득한 산사로서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삼정헌에서는 원하는 사람에게는 다도를 가르치기도 한답니다.
그런데 차를 마시려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오래 기다려야 하는데
저도 한참을 기다렸지만, 아쉽게도 차향을 느껴보지도 못하고
훗날을 기약하면서 그냥 돌아왔어요.
해탈문 너머로 수려한 은행나무가 보입니다.
세조가 수종사를 짓고 기념수로 심었다는
수령이 500년이 된 은행나무
용왕전
종각
대웅보전
부도
5층석탑
응진전(나한전)
산신각
약사전
수종사 사적기
동방의 사찰 중에 제일의 경관이라...
멀리 바라보이는 두물머리...
물안개로 뿌연 풍광이 더욱 평화롭게 보입니다.
내마음에 어딘듯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고요한 강을 바라보면서..
맑은 차를 마시면서..
홀홀 짐 벗어 던지고 마음을 맑게 하고 싶었는데...
비록 삼정헌에서 차향을 느껴보지는 못했지만
수채화 같은 풍광에 마음을 맑히고 돌아왔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