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용궁사]
바다도 좋다하고 靑山도 좋다거늘
바다와 靑山이 한 곳에 묀다 말가
하물며 淸風明月 있으니
여기곳 仙境인가 하노라.
참 좋은 곳에 오셨습니다
바다를 품은 사찰 해동용궁사
철썩이는 파도소리와 불경소리의 조용한 어울림이
현세의 마음을 차분하게 만들어 줍니다.
사찰 대부분이 산중 깊숙이 있는 것과는 달리 해동용궁사는 이름 그대로
검푸른 바닷물이 바로 발아래서 철썩대는 해안 암석 위에 위치하고 있어
수상법당(水上法堂)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무한한 자비의 화신인 관세음보살님은
이런 바닷가 외로운 곳에 상주하시며 용을 타고 화현하신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관음신앙이 해안이나 섬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양양 낙산사, 남해 보리암, 해동용궁사는 한국의 삼대 관음성지입니다.
1376년에 공민왕의 왕사였던 나옹대사께서 절 이름을 보문사(普門寺)라 칭하여
창건을 하고, 임진왜란의 전화로 소실되었다가 1930년대초 근3백여년만에
통도사 운강(雲崗)화상이 보문사를 중창하고 1974년 정암(晸唵)이 부임하여
관음도량으로 복원할 것을 발원하고 백일기도를 하였는데, 꿈에서 흰옷을 입은
관세음보살이 용을 타고 승천하는 것을 보았다 하여 절 이름을 海東龍宮寺로
바꾸었답니다.
바다와 용과 관음대불이 조화를 이루어
그 어느 곳보다 신앙의 깊은 뜻을 담고 있습니다.
진심으로 기도를 하면 누구나 꼭 현몽을 받고
한가지 소원을 꼭 이루는 영험한 곳으로 알려져
많은 참배객들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十二支-像]
子丑寅卯 辰巳午未 申酉戌亥
십이지는 동양철학의 근본이며 우주의 진리입니다.
또한 나자신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주는 수호신이기도 합니다.
[교통안전기원탑]
용궁사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것이 교통안전 5층 석탑으로 백팔계단으로 들어서기전
만날 수 있는 5층 탑이 한국에서 하나뿐인 교통안전기원탑입니다.
한국의 삼대(三大)관음성지의 한 곳인 용궁사에서는 시방삼세(十方三世)제불보살님과
호법성중님께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서원을 세우고
교통안전 기원탑을 봉안하게 되었습니다.
매년 모범택시불자회 주체로 안전운행대재를 올리며 또한 사망하신 분들의
왕생극락 발원제를 모심으로 무사고 운행에 크나큰 사표가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탑4면에 십이지(十二支) 열두띠를 새겨 누구나 자기 보호신인 띠앞에 가서
안전운행을 기원하고 기도를 올리면 사고는 줄어들고 가정은 행복할 것입니다.
[해수관음대불]
해수(海水)는 바다물이라는 뜻이요 관음(寬音)이란 관세음 보살님의 약칭이니
바다에 계시는 아주 큰 관세음보살님이란 뜻입니다.
또한 관세음보살님은 33가지의 방편으로 중생들에게 나타나시는데
관세음 보살님의 명호를 열심히 부르면 아무리 어려운 일도
안될 것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옛부터 이곳에는 겨울에도 눈이 쌓이지 않고 칡꽃이 피었다고 합니다.
불상을 봉안한지 3일 되던날 己時에(11시) 오색광명(五色光明)을 바다로부터 모으니
보는 사람마다 눈을 의심하고 말을 잇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이로부터 소문이 퍼져 매일 참배객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단일석재로는 한국최대 석상입니다.
[108 장수계단]
108계단은 108배를 하는데서 기인됐고, 108배는 108번뇌를 참회와 정진으로써
보리(菩提)로 승화시키는 수행방법입니다.
108계단을 한계단 한계단 오르내릴 때마다 번뇌가 소멸되고 정각(正覺)을
이룬다는 깊은 뜻이 있습니다.
한국에서 오직 한곳 뿐인 이곳을 일명 장수계단이라고도 하는데 지극정성으로
한번 왔다 가면 백팔세까지 산다하여 장수계단이라고도 합니다.
그리고 양쪽에 석등이 정립되어 있어 꼭 용궁에 들어오는 기분을 느끼게 됩니다.
*108번뇌 근거
육근(六根)에 호악평등(好惡平等)의 3을 곱하여 18번뇌가 되고,
육식(六識)에 낙수(樂受) 고수(苦受) 사수(捨受) 등 3수를 곱하여
18번뇌가 된후 18+18은 36번뇌가 나타납니다.
이 36을 과거, 현재, 미래 등 3세에 곱하면 36×3=108 번뇌가 됩니다.
불교에서 육근(六根)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안근(眼根), 비근(鼻根), 이근(耳根), 설근(舌根), 신근(身根),
의근(意根)인데, 우리 인간의 육체를 여섯 개로 나눈 것입니다.
즉, 눈.코.귀.혀.몸.마음입니다.
여기에다가 즐거움, 나쁨, 평등 즉 호악평등의 3을 곱하면 18번뇌가
생깁니다. 여기에 육근의 인식 작용인 육식(六識)에다가 세 수 즉
낙수(樂受) 고수(苦受) 사수(捨受)의 3을 곱하면 이것 또한 18번뇌가
생깁니다.
낙수란 즐거움, 고수란 괴로움, 사수란 즐겁지도 아니하고 나쁘지도
않은 것을 말합니다.
이 둘을 더하면 36가지의 번뇌가 생기는데 여기에다가 과거세, 현재세,
미래세 이 3을 곱하면 108번뇌가 생기는 것입니다.
결국 108번뇌의 의미는 현세의 번뇌뿐만이 아니라 전생과 현생,
미래생에서 오는 모든 번뇌를 말하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진신 사리탑]
대웅전(大雄殿) 바로 정면앞에 손에 잡일 듯 말 듯 아름답고 화려한 3층석탑이 있으니
정확히 말하면 4사자 3층 석탑입니다.
원래 이 자리는 용두암이라고도 하고 일명(一名) 미륵바위가 우뚝(약3M) 솟아
도량을 장엄하고 있었으나 임전전화에 사찰이 페허가 되고 또 6.25로 남북이
대치하면서 철통같은 해안 경계망 구축에 바다의 기암요지는 무자비하게 파괴되니
미륵바위도 용두암도 옛 전설이 되고 말았습니다.
세월이 흐르고 흘러(1990년) 영호당 정암스님께서 직접 손수 파석을 모으고
손상된 암벽을 보축하여 4사자 3층 석탑을 봉안했습니다.
특히 1층 기단 네귀퉁이에 4사자가 탑을 받쳐들고 있으며, 중앙에는 용왕님이
법당 부처님을 향해 받들고 있으니 이는 호법신장이며, 도량주이신 용왕님이
부처님을 받들고 도량을 수호하는 뜻이요, 4사자는 중생의 희,로,애,락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이 탑은 지리산 화엄사 연기 조사 사리탑을 기본으로 전통적 신라석탑 형식에
다소의 변화를 준 작품으로 근세에 보기 드문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당시 스리랑카 메스싼안다 스님이 모시고온 불사리 7과를 봉안하니
이때부터 사리탑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입구계단을 내려 오면서 바로 보게 되는 이 석탑은 넓은 바다 때문에 더욱
아름다워 보이며, 용궁사의 보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포대화상]
용궁사 백팔계단 초입에 서 있는 포대화상은 코와 배를 만지면 득남을 한다는 소문에
수많은 사람들의 손때가 묻어 있어 또 다른 신비감을 주고 있습니다.[득남불]
중국 후량(後梁)의 선승(禪僧), 이름 계차(契此), 호 정응대사(定應大師),
포대화상(布袋和尙)이라고도 하며, 당시의 사람들은 장정자(長汀子)또는
포대사(布袋師)라 불렀습니다.
명주 봉화현출생. 체구가 비대하고 배가 불룩하게 나왔으며, 항상 커다란 자루를
둘러 메고 지팡이를 짚고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시주를 구하거나 시대나 인간사의 길흉
또는 일기를 점쳤다 합니다.
복덕원만한 상을 갖추고 있어 게(偈)를 잘하였으며, 봉화현 악림사(岳林寺)에서
입적하였습니다. 그는 미륵보살의 화신이라는 존경을 받고 있습니다.
[지장보살]
지옥중생을 모두 구제하고서 성불하시겠다는 원력을 세우시고 지금도
지옥에 계시는 보살로서 바닷가 방생터에 모신 지장보살상
[약사여래불]
약사여래불은 이름 그대로 의약사 부처님이시니, 우리 중생의
마음의 병고나 신체적 병고를 치유해 주시는 부처님이십니다.
특히 이곳은 터가 좋고, 부처님이 영험하시여 많은 불자님이 불치의 병을
고치고 성불을 받으니 일명 동해 갓바위 부처님으로 유명합니다.
[기원탑]
[득남불]
[학업성취불]
[소원성취 연못]
*참고자료:해동용궁사
|